CU, 제주 감귤 546톤 수매! 생과일 하이볼로 지역 상생 펼친다

보도자료 2025.02.11

- CU, 생감귤 하이볼 출시로 제주 감귤 소비 촉진 및 지역 사회 문제 해결 통해 상생 실천

감귤 대량 수매 통해 지역 농가 추가 소득, CU는 감귤 수확 시기 외에도 하이볼 판매 可

지역 특산물 활용한 상품 개발로 지역 경제 살리고 우리 농산물 우수함 앞리는 데 앞장

생과일 하이볼 시리즈 8탄 생자몽 하이볼 출시··· 자몽 웨지 넣어 자몽 풍미 그대로 구현









 

CU가 지난해 출시한 생과일 하이볼의 인기에 힘입어 제주 지역의 잉여 감귤을 대량 수매해 지역 농가 살리기에 앞장선다고 11일 밝혔다.

 



CU가 지난해 4월 업계 최초로 선보인 생과일 하이볼 시리즈는 지금까지 약 10개월 동안 1,500만 캔 이상 판매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이에 하이볼을 포함한 CU의 기타 주류의 매출은 전년 대비 186.7%나 껑충 뛰었다.

 

이처럼 생과일 하이볼이 높은 판매량을 기록함에 따라 CU도 지역 상생 차원에서 우리 농산물에 대한 매입을 더욱 늘리게 됐다.

 

해마다 제주 노지 감귤은 약 40만톤 이상 생산된다수요 대비 과잉 생산된 감귤이나 생산된 감귤 중 판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비상품 감귤은 판매 되지 못해 상당 양이 남아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CU는 생과일 하이볼 시리즈인 생감귤 하이볼을 지난해 11월 출시하고 해당 상품에 제주 감귤 슬라이스와 감귤 착즙액을 사용함으로써 약 546톤의 감귤을 소비했다.

 

이렇게 CU가 생감귤 하이볼 생산을 위해 제주 감귤을 대량 수매함으로써 제주 지역 농가는 추가 소득을 얻게 되고 미판매 되는 감귤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생과일 하이볼의 제조 업체인 부루구루는 올해 감귤이 출하되기 전해당 상품을 대량으로 생산 및 보관함으로써 안정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고 CU도 생감귤 하이볼을 감귤 수확 시기 외에도 판매가 가능하게 됐다.

 

CU는 국내 농산물의 소비 진작을 위해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을 꾸준히 개발해 전국 1만 8천여 개 점포에서 판매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살리는 동시에 우리 농산물의 우수함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실제로, 2024년에 CU는 창녕 양파’ 간편식 시리즈로 통해 창녕 양파 30톤을생유자 하이볼을 통해 고흥 유자 35톤을 소비했고 2023년에는 진도 대파’ 불고기 간편식 시리즈를 통해 진도 대파 45톤을보성 녹돈’ 간편식으로 돈육 200톤을, ‘고창 고구마’ 간편식 시리즈로 고창 고구마 30톤을 사용했다.

 

앞으로도 CU는 국내산 원재료를 적극 활용한 차별화 제품으로 지역 농가들과 함께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ESG 경영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예정이다.

 

한편, CU는 이달 12일 생과일 하이볼 시리즈 8 생자몽 하이볼(500ml, 4,500, ALC. 4.5%)’을 선보일 예정이다생자몽 하이볼에는 자몽 웨지를 넣어 자몽의 풍미를 제대로 구현하였고 상큼하고 달콤쌉싸름한 맛과 시트러스한 향이 특징이다.

 

BGF리테일 주류팀 장주현MD는 제주 감귤을 활용한 생감귤 하이볼을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재미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실효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CU는 지역 농가와의 상생을 위해 우리 특산물을 활용한 다채로운 상품들을 선보이며 업계 트렌드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